본문 바로가기
경제 와 생활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어떻게 될까?

by 브레드류 2023. 5. 8.
반응형

5월이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달입니다. 종합소득세를 기간 내에 신고 안 했을 때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추가 수입이 매우 적을 경우에는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해 보았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무신고 가산세 발생

간단히 말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할면 1차로 무시고 가산세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복식부가 의무자와 그렇지 않은 경우 차이가 납니다.

일반의 경우 납부세액의 20%을 내야합니다.

일반(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납부세액의 20% 와 수입 금액의 0.07% 중에서 높은 금액이 부가됩니다.

 

부정무신고의 경우 납부세액의 40%를 부과합니다.

무정무신고에 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는 납세액의 40% 와 수입 금액의 0.14% 중 높은 금액이 부가됩니다.

 

그런데 무신고 후에 신고하는 것을 기한 후 신고라고 하는데 이러할 경우 기간에 따라 가산세를 감면해 줍니다.

신고 기한 후 1개월 이내 신고의 경우 무신고 가산세 50% 감면해 줍니다.

신고 기한 후 3개월 이내 신고의 경우 무신고 가산세 30% 감면해 줍니다.

신고 기한 후 6개월 이내 신고의 경우 무신고  가산세 20% 감면해 줍니다.

 

게다가 납부 지연 가산세를 내야 합니다.

납부 지연 가산세는 미납 및 미달납부세액 X 미납기간 X 0.022%입니다.

미납기간은 납부기한의 다음날부터 자진 납부일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세액공제와 감면 혜택 없음

일반적으로 종합소득세 무신고 시에 가산세만 내야 되는 걸로 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가산세뿐 아니라 소득 공제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각종 감면 혜택 역시 받을 수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내야 돼야 할 세금 자체가 올라가게 됩니다.

이것은 매달 내야 할 건강보험료까지 인상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처럼 종합소득세를 기간 내 신고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이 너무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내야 할 세금이 거의 없다고 생각되거나 미미하다고 생각돼서 신고를 하지 않아서는 안되며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거나 자세히 알아보고 반드시 기간 내에 시고 하셔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