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구매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이란?
전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수목적의 상품권을 말합니다. 점점 더 전통시장을 방문하시는 분들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여서 시장 내의 소상공인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통시장의 수요 진작과 지역경제 활성 와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됩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기금에서 비용을 부담합니다. 온라인 상에서도 가맹점이 있어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 찾는 방법
1) 온누리마켓 이용하기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아니면 검색창에 "www.onnurimarket.kr"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온누리마켓 홈페이지가 나타납니다.
홈페이지를 보시면 왼쪽에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탭과 지도가 있습니다.
이 홈페이지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시장과 가맹점들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선태 하면 해당지역의 전통시장이 표시됩니다.
만일 가맹시장옆의 가맹점 탭을 클릭하면 해당자역의 가맹점들이 지도에 표시됩니다.
그리고 이곳에서는 전통시장뿐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까지 보여줍니다.
우체국 전통시장, 제주전통시장쇼핑몰, 경남몰, 지마켓, 옥션, 공영쇼핑, 전남 스마트 전통시장 등 다양한 쇼핑몰들이 있습니다.
2) 온누리마켓 어플
온누리상품 어플에서 가맹점 찾기 메뉴를 이용하셔서 사용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어플에서 오른쪽 위쪽의 줄 3개 메뉴를 누르시면 메뉴들이 표시됩니다.
메뉴 중에서 가맹점 찾기를 누려면 창이 표시됩니다.
내 지역에 있는 가맹점이 우선적으로 나타납니다.
지역별을 선택해서 자신의 지역을 중심으로 찾을 수도 있습니다.
시장별은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지역의 시장들이 목록으로 표시되는데 이 중하나를 선택하면 그 시장 내의 가맹점들이 표시됩니다.
구매 방법
개인의 경우 5% 혹은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류 상품권은 5% 할인적용, 전자상품권은 5% 할인적용, 모바일 상품권은 10% 할인적용 됩니다.
한도는 지류, 전자 상품권 50만 원까지, 모바일 상품권 70만 원까지입니다.
구매할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류 상품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등입니다.
전자상품권: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비씨카드입니다.
모바일상품권: 제로페이, 페이코, 시럽, 콕 뱅크, 올원뱅크, 투유뱅크, 스마트뱅킹, 뉴스마트뱅킹, 머니트리, 피플제로페이, 유비페이, 신한은행 솔, 제로페이온 등입니다.
그리고 온누리상품권 어플에서도 구매가능합니다.
어플에서 계좌를 등록하거나 카드를 등록합니다.
다음에 충전을 하시면 사용가능합니다.
끝으로
최대 10%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전통시장의 소상공인들도 돕고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전국 어디서나 사용가능하다고 하니 미리 준비해 두신다면 요즘처럼 고물가 시대에 지출을 절약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와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3.05.08 |
---|---|
부동산 경매 자격증 취득 해야하는 걸까? (0) | 2023.04.22 |
노란우산공제 가입조건과 장단점 해지 방법에 대하여 (0) | 2023.04.14 |
실업급여 금액 산정기준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4.09 |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4.06 |
댓글